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학부대학

사이트맵
검색
TOP

 

교양 2025년 2학기/학사

베리타스 강좌 1: 현대의학과 종교의 대화

Veritas Lecture 1: How Medicine and Religion Shape Each Other

교와 의학은 인간의 삶에 근원적인 영향을 주는 두 영역이다. 의학의 발전은 그 태동기부터 인간의 종교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하였고, 전통의학의 근본적인 임무는 치유와 영성(spirituality)이 통합된 보존적 고식치료(palliative care)로서 신체, 심리, 사회성, 영성을 고려하는 전인적 치유 모델(holistic healing model)이 수도원 병원(monastic hospitals)을 중심으로 근대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계몽시대를 지나면서 의학의 관심은 질병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경험주의적 실증적 원칙을 채택함으로써 주관적 치유을 추구하는 askletian model과의 분리되기 시작하였고, 근대사회가 전통적 종교의 권위로부터의 탈종교화가 진행되면서 전인적 치유를 추구하는 의학과 종교간의 분리는 더욱 심화되었다. 그 결과 현대의학의 눈부신 과학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질병관에 근거한 치료가 인간이 느끼는 고통의 치유를 대체하기에 이르렀다. 20세기 말부터 완화의학(palliative medicine)의 발전은 의학 영역에서 종교성과 영성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으며, 현대의학이 환자의 전인적 돌봄(holistic care)에 대한 요구를 소홀히 해 왔음이 인지되기 시작했다. 정신과적 영역, 말기 환자 진료, 약물 남용 등의 분야에서 인간의 종교성에 대한 의학적 개입이 질병 경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이 속속 증명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교과목은 삶과 가치체계를 포괄적으로 주도하는 세계관으로서의 의학과 종교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변천하였는지를 주요 사례중심으로 고찰하고 토론을 통하여 종합한다. 현대의학이 소홀히 한 전인적이고 통합적 치료를 보완할 수 있는 종교/영성의 역할을 검토하여 발전적 대안을 제시한다.
이 수업은 크게 2부로 구성된다.
(1부)종교와 의학의 교차점: 역사적 맥락
(2부) 현대의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종교의 역할

  • 영성
  • 완화 의료
  • 약물 남용
  • 전통 의학
  • Spirituality
  • Palliative care
  • Substance abuse
  • Traditional medicine
과목 코드
V10.119
과목 상태
설강
개설대학
학부대학
교수명
김진욱
누적 수강생 수
정보 없음

참고 도서

참고 도서 정보 없음

참고 논문

참고 논문 정보 없음

추천 도서

추천 논문

The Spirituality in End-of-Life Cancer Patients, in Relation to Anxiety, Depression, Coping Strategies and the Daily Spiritual Experience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 #영성
  • #대처
  • #Spirituality
  • #Coping
Toward a better assessment of coping with bereavement: Applicability to diverse experiences and conceptual structure of the coping with bereavement questionnaire .
Death studies
  • #슬픔
  • #감정
  • #Grief
  • #Feeling
"阿尔法城"记忆:村上春树文学的"近代"景观 / Memories of Alphaville:The Landscape of"Modern Times"in Haruki Murakami's Literature
太原理工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Taiyuan University of Technology (Social Sciences Edition)
  • #은유
  • #감정
  • #Metaphor
  • #Feeling
Revisiting hope’s third pillar: Mattering, spirituality, and social connectedness among financially marginalized household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 #영성
  • #심리학
  • #Spirituality
  • #Psychology
Representation of female beauty in advertising: Effects on emotional well-being, body satisfaction, and weight control in young women
Profesional de la Informacion
  • #기분
  • #심리학
  • #Mood
  • #Psychology
Empathizing and systemizing profiles of Brazilian and Portuguese nursing undergraduates
Nursing Ethics
  • #포르투갈어
  • #공감
  • #간호
  • #Portuguese
  • #Empathy
  • #Nursing
Meditation techniques in the quest for balance and authenticity
Journal for the Study of Religions and Ideologies
  • #명상
  • #영성
  • #탈피
  • #Meditation
  • #Spirituality
  • #Metamorphosis
Born somewhere
Cahiers jungiens de psychanalyse
  • #감정
  • #정체성
  • #Feeling
  • #Identity
Feeling stressed but in full flow? Leader mindfulness shapes subordinates' perseverative cognition and reaction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 #마음챙김
  • #심리학
  • #Mindfulness
  • #Psychology
Solastalgia, place attachment and disruption: insights from a coastal community on the front line
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 #감정
  • #심리학
  • #Feeling
  • #Psychology
The sociological analysis of shame in georg simmel a proposal to study the performative and relational character of emotions
Digithum
  • #감정
  • #지표
  • #Feeling
  • #Character
Linking core self-evalu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with workplace loneliness: does high LMX make the consequence wors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 #정서적 탈진
  • #심리학
  • #Emotional exhaustion
  • #Psychology
발달장애인의 직장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발달장애연구
  • #기쁨
  • #발달 장애
  • #심리학
  • #Pleasure
  • #Developmental disorder
  • #Psychology
Exploring workplace spirituality, mindfulness, digital technolo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complex interplay in organizational contexts.
Acta psychologica
  • #영성
  • #마음챙김
  • #Spirituality
  • #Mindfulness
#LongLiveDaGuys: Online Grief, Solidarity, and Emotional Freedom for Black Teenage Boys after the Gun Deaths of Friends
Journal of Contemporary Ethnography
  • #슬픔
  • #연대
  • #Grief
  • #Solidarity
Therapist-Level Moderation of Within and Between-Therapist Process–Outcome Associ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 #심리치료
  • #동맹
  • #Psychotherapy
  • #Alliance
A Re(Defining) Moment: Eulogizing Good Death in the Face of COVID-19
Health Communication
  • #서사
  • #슬픔
  • #Narrative
  • #Grief
A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exploration of prolonged grief in New Delhi, India
Transcultural Psychiatry
  • #슬픔
  • #대처
  • #Grief
  • #Coping
Death and Other Losses in the COVID-19 Pandemic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Older Adults i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 Qualitative Study
Omega
  • #감정
  • #질적 연구
  • #Feeling
  • #Qualitative research
Claire and Jose Get Off Their Cake: Ecstasy, Raving and Women’s Pleasure in 1990s Britain
Cultural and Social History
  • #기쁨
  • #서사
  • #Pleasure
  • #Narr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