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예비대학 전공별 수강 가이드

원자핵공학과

작성자: 원자핵공학과 2023학번 윤나영

추천의 말

작년 초, 학교에 입학하기 전 설레는 마음을 가지고 디딤돌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부족했던 확률과 통계 파트를 학습하기 충분한 강의를 제공받은 덕분에 1학년 교양 통계학 을 무사히 수강할 수 있었습니다. 본격적인 학교 생활을 시작하기에 앞서 고등학교와 달라지는 대학의 수업 방식이 걱정되는 신입생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러한 학생들에게 예비대학 프로그램 참여는 후회 없는 선택이 될 것입니다. 불안한 마음을 가라 앉히고, 다가오는 수업들을 대비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특히 원자핵공학과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벡터&행렬 강좌와 물리의 실험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강좌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1학년 때부터 몰아치는 필수 교양 과목들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입학 전 주어지는 휴식을 누리는 것도 좋지만, 어느 정도 대비를 해 둔다면 앞으로의 대학 생활이 조금은 쉬워질 것이라 확신합니다. 모두 파이팅 하세요!

커리큘럼 모식도

클릭하면 각 수업과 연계된 기초교과 콘텐츠로 넘어갑니다.
물리 수학 물리 컴퓨팅 화학 화학 물리 생명과학 컴퓨팅 물리 물리 컴퓨팅 생명과학 논리적사고 물리 컴퓨팅 글쓰기 논리적사고 통계 생명과학

전공수업별 수강 가이드

각 수업과 연계된 기초교과 세부내용을 클릭하면 콘텐츠로 넘어갑니다.
 전공 수업명기초교과 세부내용
(클릭해보세요)
구체적 도움 내용
1공학물리 기초
409.214
물리
(역학)
본 과목에서는 고전역학, 전자기학, 통계역학, 양자역학을 배우게 됩니다. 공부해야 할 양이 정말 많은데 디딤돌 물리 강좌를 통해 역학의 기본 개념을 알고 온다면 수업에 비교적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수학
(행렬/벡터)
물리에서 벡터 개념은 기본입니다. 역학이나 전자기학 등 모든 물리 파트에서 벡터가 사용되고, 기하미분방정식을 풀 때에 행렬을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벡터와 행렬에 관한 기본지식이 없다면 해당 프로그램 수강을 추천합니다.
2핵공학 기초실험
409.223
물리
(실험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회로에 대한 기본 지식을 기반으로 실험을 진행합니다. 실험 보고서 작성 시 통계 분석 및 데이터 분석이 필수이고, 고교 시절 실험 보고서를 써본 적이 없는 경우 대학에서 첫 보고서를 쓸 때 당황할 수 있으니 관련된 기본 지식을 본 강의 수강을 통해 쌓길 추천합니다.
컴퓨팅데이터 분석 시 파이썬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컴퓨팅 강좌를 듣는다면 실험값 보정 및 이론값 계산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핵화학 기초
M1509.001600
화학원자력 분야에서 필요한 화학의 기초를 배우는 강좌로 고등학교에서 화학1, 화학2를 수강하지 않았다면 필수적으로 수강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특히 몰 개념은 처음 화학을 배우는 학생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이기에 반드시 해당 전공 수강 전 강의를 통해 학습하길 바랍니다.
4에너지물리화학
409.317
화학열역학, 화학평형, 반응속도론을 집중적으로 배우는 전공 과목입니다. 디딤돌 프로그램에서는 다루지 않는 개념이지만, 위 개념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화학물과 화학식에 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기 때문에 화학 강의를 듣는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5원자로열유체실험
M1509.000100
물리
(실험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핵공학기초실험과 마찬가지로, 실험 전공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실험 데이터와 보고서에 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또, 데이터 분석 시 회귀 분석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컴퓨터로 회귀분석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나 그 바탕이 되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본 강의를 수강하길 추천합니다.
컴퓨팅앞서 설명한 대로 회귀분석이나 그래프 fitting을 하기 위해서는 python과 같은 컴퓨터 언어 학습이 필요합니다. 컴퓨팅 프로그램에서는 가장 쉬운 언어인 python을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으니 학교 입학 전 개념을 훑어보길 추천 드립니다.
6방사선 물리와 방호
M1509.001000
생명과학본 전공 과목에서는 방사선의 특징을 배움과 동시에 인체의 방사선 피폭 과정을  학습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데 그러한 측면에서 생명과학 강의 전체를 수강하시길 권장합니다. 특히, 원자핵공학과 학생들은 고등시절 생물을 과학탐구로 선택하지 않았을 확률이 높은데, 그런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7수치해석 기초
409.310A
컴퓨팅수치해석 기초에서는 기본적으로 python 언어를 사용합니다. 복잡한 코드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구문에 대한 이해는 필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python 언어를 미리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8원자력 재료 실험
M1509.001700
물리
(실험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정말 다양한 실험 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만큼, 우리가 작성해야 하는 실험 보고서 양도 많습니다. 정식으로 보고서를 작성해 본 경험이 없는 학생은 본 강좌를 필수적으로 수강하길 권해 드립니다.
컴퓨팅데이터를 분석하는 코드는 인터넷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지만, 그 코드를 이해해야 실제로 분석할 때에 적절하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python 언어에 대한 이해는 갖추고 입학하길 권해 드립니다.
9핵융합
 플라즈마 실험
409.313A
물리
(실험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실험의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실험을 정확하게 하는 것만큼 실험의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논의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이는 통계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데 본 강의를 통해 데이터 분석에 있어 필요한 기본적인 통계 개념을 배우고, 보고서 작성 훈련을 해보길 바랍니다.
컴퓨팅데이터 분석 시 엑셀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쉽고 널리 알려진 방식이지만, 많은 양의 데이터와 복잡한 그래프의 fitting을 하기 적합하진 않습니다. 따라서 주로 python이라는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디딤돌 프로그램 수강을 통해 python의 기초를 다지길 권장 합니다.
10방사선산업 및 의학응용
409.433
생명과학방사선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전공에서는 방사선이 의료 산업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배웁니다. 그렇기에 인체에 관해 높은 이해도가 필수적이기에 디딤돌 프로그램의 생명과학을 수강하면서 기본 지식을 쌓길 바랍니다.
11원자력법과 사회
409.431
논리적 사고수학과 물리를 사용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전공 과목 중 하나로, 원자력에 관련된 법체계와 사회의 관심사를 다룹니다. 그러나 공대 전공에서 사회나 법과 관련된 학습을 하기 어려운 만큼 학생들에게 익숙한 내용은 아닐 것입니다. 이에 논리적 사고 강의를 통해 사회현상에 관한 학습을 진행한다면 본 전공을 수강하는데 있어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12원자로물리 실험
M1509.001500
물리
(실험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원자핵공학과 졸업을 위해서는 3개의 실험 과목 수강이 요구됩니다. 과목 수강에 앞서 실험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에 관한 요령을 배울 수 있는 디딤돌 물리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길 권장 드립니다.
컴퓨팅가장 많이 배우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python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길 권장 드립니다.
13에너지정책 및 경제
409.417B
논리적 사고원자력법과 사회와 비슷하게 원자력 발전과 관련된 정책과 경제 현상을 배우는 전공으로 사회 현상에 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정책의 발현 배경에 대한 이해를 하기 수월합니다. 이과이기 때문에 사회에 관한 이해도가 비교적 낮은 만큼 디딤돌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14확률론적 안전해석
409.434
통계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학습하는 전공으로, 확률과 통계의 기본적인 지식을 요구합니다. 선택과목으로 확률과 통계 교과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은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니 디딤돌의 통계강좌를 수강하고, 수강 후에도 추가적인 학습을 하길 권해 드립니다.
15원자핵공학 학사논문 연구1
M1509.000500
글쓰기
(글쓰기를 통한 새로운 세계의 탐색)
졸업하기 전, 학사 논문을 반드시 작성해야 합니다. 본 전공을 통해 논문주제를 탐색하고 선정함과 더불어 문헌 조사와 분석법을 배우는데 이 과정에서 추천 강의 속 ‘글쓰기를 통한 새로운 세계의 탐색‘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6원자핵공학 학사논문연구2
M1509.000600
글쓰기
(글쓰기를 통한 새로운 세계의 탐색)
앞선 ‘원자핵공학 학사논문 연구1’ 를 수강한 후 ‘원자핵공학 학사논문연구2를 수강하며 최종 논문을 작성하게 됩니다. 좋은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논리적인 구조와 짜임이 필요한데, 이 강의의 ‘나와 세계를 연결하는 글쓰기 방법’을 수강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