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수학 1 | 수학 (행렬/기하/벡터) | 1학년 1학기 과목으로 후반부에 평면과 공간의 여러 가지 좌표계, 벡터, 행렬, 행렬식, 선형사상, 곡선 등을 다룹니다. |
2 | 수학 2 | 수학 (행렬/기하/벡터) | 1학년 2학기 과목으로 다변수 미적분학과 벡터해석학을 다룹니다. 수학 1과 연계되기에 선형대수학에 대한 이해와 기하적 직관이 중요합니다. |
3 | 물리학 1 | 물리 (역학) | 1학년 1학기 과목으로 중력, 물체의 운동, 에너지, 파동 등에 연관된 물질세계의 역학적 접근 방법을 배웁니다. |
4 | 물리학실험 1, 2 | 물리 (실험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물리학 1, 2와 연계되는 과목으로 실험을 통해 물리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목입니다. |
5 | 통계학, 통계학실험 | 통계 | 통계학의 기본적 내용을 소개하는 과목으로 기본적 확률분포, 표본분포, 구간추정과 검정의 원리 등을 다룹니다. |
6 | 화학, 화학실험 | 화학 | 화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고, 많은 물질과 이들의 변화과정이 무기화학 및 유기·생화학적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
7 | 대학 글쓰기 1 | 논리적사고 글쓰기 | 1학년 1학기 과목으로 글쓰기 이론의 학습과 글쓰기 실습을 통해 작문 능력을 기르는 과목입니다. |
8 | 대학 글쓰기 2: 과학기술글쓰기 | 논리적사고 글쓰기 물리 (실험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대학 글쓰기 1과 연계되는 과목으로 과학 글쓰기에서 특히 강조되는 논리적 표현을 연습합니다.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이 포함됩니다. |
9 | 대학영어 1, 2 | 영어 글쓰기 | 영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영역을 다룹니다. 특히 대학영어 1은 조교와 상담하며 글을 수정하는 writing lab을 운영합니다. |
10 | 컴퓨터의 개념 및 실습 | 컴퓨팅 | 기계공학부 강좌에서는 C/C++ 언어를 다룹니다. 또는 Matlab, Python을 다루는 다른 학부 개설 강좌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
11 | 기계 시스템 설계와 로봇 프로그래밍의 기초 | 컴퓨팅 | 1학년 1학기 전공 필수 과목으로 Matlab, Python, C/C++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
12 | 창의공학 설계 | 영어 | 1학년 2학기 전공 선택 과목으로 다양하게 주어진 목표물의 설계 및 제작 실습을 진행합니다. 개인 및 팀 발표가 영어로 진행됩니다. |
13 | 공학수학 1, 2 | 수학 (행렬/벡터) | 2학년 교과목으로 선형대수학, 미분방정식 등, 공학에 널리 쓰이는 수학의 제반원리 및 응용을 다루는 과목입니다. |
14 | 열역학 | 수학 (기하: 내분점과 외분점) | 기계공학의 기본 과목 중 하나로, 열역학 시스템 분석 시 원하는 thermodynamic property의 값을 linear interpolation 기법을 이용해 계산합니다. |
15 | 동역학 | 물리 (역학) 수학 (행렬/벡터) | 운동 중인 물체를 벡터적으로 해석하는 역학의 한 분야로, 물체에 작용하는 힘, 물체의 질량, 물체 운동 사이의 관계를 다룹니다. |
16 | 기계공학 실험 | 물리 (실험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3학년 전공 필수 과목으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위해 기존에 배운 기계공학 이론을 적용하는 과목입니다. |
17 | 로봇공학 입문 | 수학 (행렬/벡터) | 로봇의 역학적 해석, 설계, 운동계획 및 제어를 다루는 과목으로. 강체운동의 수학적 표현을 위해 선형대수학 지식이 필요합니다. |
18 | 기계시스템 모델링 및 제어 | 수학 (행렬/벡터) | 다양한 기계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과 기본적인 제어 설계 및 해석 기법을 다룹니다. 다양한 영역에서 선형대수학이 응용됩니다. |
19 | 재료와 제조공정 | 화학 (Compounds) | 제조 공정들에서 사용되는 금속, 폴리머, 세라믹, 복합재료 등 다양한 재료의 구조 및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다룹니다. |
20 | 기계진동학 | 수학 (행렬/벡터) | 정역학과 동역학에 기초하여 강체 부재로 이루어진 기구의 운동을 해석하는 과목으로, 작도법과 벡터해석법을 다룹니다. |
21 | 기계공학을 위한 머신러닝 | 수학 (행렬/벡터) 컴퓨팅 통계 | 확률, 선형대수 등 머신러닝의 기반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머신러닝 문제와 스마트 제조를 위한 센싱, 공간정보구축, 로보틱스 적용 프로젝트를 수행합니다. |
22 | 응용열역학 | 화학 컴퓨팅 | 순수물질 및 혼합기체의 성질, 화학반응과 연소반응 등을 다룹니다. 가용 에너지의 개념을 이용한 밀폐시스템과 개방시스템을 해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
23 | 수소생산과 연료전지 응용 | 화학 (Nomenclature) |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인 수소에너지의 가치사슬을 다루는 과목으로, 수소 관련 다양한 화학 반응이 학습 내용이 포함됩니다. |
24 | 기계시스템 설계 1, 2 | 물리 (실험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4학년 학사 논문 과목으로, 담당교수와 협의하여 선택한 주제로 연구하며 세미나, 발표, 토론, 실습을 진행합니다. |
25 | IoT·인공지능·빅데이터 개론 및 실습 | 컴퓨팅 | 공학개론 과목으로, 4차산업혁명의 핵심인 IoT·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의 이해를 목표로 합니다. Python을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실습이 포함됩니다. |
26 | VR/AR의 개론 및 실습 | 컴퓨팅 수학 (행렬/기하/벡터) | 딥러닝을 포함한 캐릭터 애니메이션 개론, 컴퓨터 그래픽스 이론, 가상현실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습 등을 다룹니다. |
27 | 공학기술과사회 | 논리적사고 | 공학기술이 사회적, 환경적, 정치적, 경제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융합해야 할지 스스로 생각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28 | 공학경제 | 통계 | 공과대학 공통 교과목으로 기술프로젝트의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기본 개념과 통계적 지식 기반의 계량적 방법론을 다룹니다. |
29 | 머신러닝을 위한 기초 수학 및 프로그래밍 실습 | 컴퓨팅 수학 (행렬/기하/벡터) | 대수, 미적분, 선형대수, 기하 등 머신러닝 학습에 요구되는 수학적 기반을 다지며 Python을 이용해 수업을 진행합니다. |
30 | 선형대수학 | 수학 (행렬/벡터) | 벡터공간, 선형사상, 기저와 차원, 행렬과 행렬식, 고유치와 행렬의 대각화, 내적공간, Gram-Schmidt 방법 등을 다룹니다. |
31 | 미분방정식 | 수학 (행렬/기하/벡터) | 공학수학 수강 전후 미분방정식을 심화 학습하고자 많이 듣는 과목입니다. 선형대수학과 기하 지식을 바탕으로 상미분방정식의 기본적인 해법이 포함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