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18일에 개최되는 자유전공 포럼 행사를 안내합니다. 
특히 2부 라운드테이블은 전국의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에게 오픈된 행사이기 때문에 관심있는 학생들은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본 행사에 관심이 있는 자유전공학부 학생은 조준희 교수님(j.cho@snu.ac.kr)께 연락 바랍니다.<행사 개요>
□ 제목
: 전환의 시대
, 글로컬 교양교육과 자유전공 확대의 동행과 미래
□ 일시
: 2025. 12.18(목
) 12:40~18:00
□ 장소
: 서울 코리아나호텔
□ 주최
, 주관
: 강원대
, 강릉원주대
, 전국자유전공학부협의체 
(+교양교육
)
 
 
| 일시 | 주제 | 구분 | 
| 13:00
개회 | 개회사, 축사 |  | 
| 13:20~15:20
1부주제발표 
 사회: 강릉원주대
 
 이재용 교수
 
 
 | 
 
| 주제 | 발표자 | 비고 |  
| 1. 무전공 입학의 대형화에 따른 국립부경대의 대응: 자유전공길라잡이센터를 중심으로 | 최호석 교수(부경대 학부대학장, 자유전공 길라잡이센터장) | 학생관리, 제도지원 |  
| 2. 전공 선택의 집중과 분산,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 조준희 교수(서울대 자유전공학부) | 전공선택과 쏠림 |  
| 3. 자유전공생으로서 어떤 용기를 냈고, 어떻게 성장했나? | 옥채은 학생(강원대 3학년,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 자전학생의 용기와 성장스토리 |  
| 4. 학사지도 면담 유형과 진로 기반 전공 선택 지도, 실태와 대안은? | 신자영 교수(연세대 학부대학 학사지도교수) | 학사지도 |  
| 5. 학생설계전공, 학생은 무엇이 어렵고 교수자는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가? | 이현옥 교수(강원대 자유전공학부), 최규리 교수(이화여대) | 융합교육과 학생설계전공 |  
| 6. 자유전공생으로 어떤 어려움을 겪었으며, 어려움 속에 어떤 역량을 기르고 있나? | 김서진 학생(이화여대 4학년, 경영 전공) | 자전 학생의 어려움과 역량 함양 |  | 발표 
 (6명)
 
 -교수20분, -학생15분
 | 
| 15:20~15:40 | 휴식 |  | 
| 15:40~16:502부 
 라운드테이블
 
 
 
 사회: 강원대
 | *테이블별 성공·실패사례 공유 및 컨설팅(주제 안)
1) 전공 선택 지원과 쏠림 완화 [좌장: 서울대 000 교수](with 조준희 교수)2) 교육과정 운영과 학사 관리(교과,비교과/수강신청) [좌장: 강릉원주대 최정아 교수](with 최호석 교수)3) 진로상담 체제와 학생 상담지원(교수,학사지도교수,선배) [좌장: 이화여대 유성진 교수] (with 신자영 교수) 
 4) 융합전공 및 다전공(학생설계전공) 운영 [좌장: 전남대 강성모 교수] (with 이현옥, 최규리 교수)
 
 5) 자유전공 학생의 진급후 전공 적응과 어려움 [좌장: 세종대 이수정 교수] (with 옥채은, 김서진 학생)
 
 6) 인력 및 제도적 지원과 교육거버넌스 [좌장: 강원대 000]
 
 7) 학생 테이블 [서울대, 전남대, 이대, 강원대, 강릉원주대+α]
 | -테이블 5~7개*8~10명 
 -테이블별 사회 1명(좌장, 발표자)
 
 
 | 
| 16:50~18:00
종합논의 | 라운드테이블 논의 사항 공유 |  | 
| 18:00
폐회 | 폐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