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공지사항

공통교육

2025 학부생연구지원프로그램(유형1 독립연구) 합격팀 명단 발표

작성자
기초교육원
작성일
2025-05-13
조회
558
안녕하세요. 학부대학 학생자율교육 운영실입니다.

2025 학부생연구지원프로그램(유형1 독립연구) 합격팀 명단을 발표드립니다.
  • 황해도 대동굿과 스피리추얼 재즈의 감응 구조: 트랜스, 발화, 정동의 정치학
  • 의식 변형 체험과 측두엽의 상관성에 대한 신경과학적 탐색: 세속적 신비주의를 중심으로
  • 국회회의록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본 제1공화국 국회의원들의 ‘주권’ 인식
  • 문학 체계(system)에서의 ‘페미니즘 코드’ 탈/부착
  • 노동시장 특성과 무역경쟁력 간의 구조적 상관관계
  • 내현적 자기애의 분노 억제 성향이 한국인의 문화특수적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 성소수자 관점에서 본 성폭력의 법 담론: 판결문 분석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기반 형성적 동료 평가 과정에서 학생들의 피드백 및 수학적 글쓰기 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 기반 감정 분석을 활용한 개인 투자자 행동 예측 모델 연구: 비정형 커뮤니티 데이터를 중심으로
  • 제도 속 인권으로서의 장애인 권리: 니켈의 제도적 인권관을 적용한 입법 과제 분석
  • 경계에서 살아남기: 베트남 호치민 화인의 정체성과 경제활동
  • 우리는 왜 AI에게 반말하는가?: LLM 기반 챗봇과 한국어 사용자 간 말투 모델에 따른 인간-기계 관계 설정과 기능별 만족도 차이 실험
  • 3교대 간호사의 학업 병행 여부에 따른 24시간 활동 패턴, 피로도, 직무 만족도, 전문직 삶의 질 비교 연구
  • 폐기물 선별업장에서 광학선별기 설치 의무화의 경제적 효과 분석: 비용구조 및 수익성 변화를 중심으로
  • 청년층의 노동 경험 양상에 따른 지역 최저임금 미준수 인식의 내면화: 대구지역 사례연구
  • 양방향 매칭에서의 동류성
  • 변분 양자 알고리즘을 통한 평탄 밴드계의 상전이 및 강상관 효과 탐구
  •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염증성 세포 사멸 및 생체 독성 확인
  • 도라지의 개화 과정 중 꽃잎 분리 현상 연구
  • TM4SF5가 매개하는 담도암 발생 기전 규명을 통한 새로운 치료 전략 제시
  • MutaT7 기반 연속적 유도진화 시스템의 서열 탐색 공간 확장을 위한 표적 코돈 다변화 및 최적화 연구
  •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한 간암 세포의 네크롭토시스 저항성 획득 기전 규명
  • EEG 신호를 활용한 양손 열 손가락 운동 상상 분류: CNN과 Self-Attention 결합 모델 기반 접근
  • 교차양태 관련성 기반 기본맛 및 매운맛의 시각 이미지 연상 경향 분석
  •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허친슨-길포드 조로 증후군의 치료 기술 연구
  • AMPK-β-oxidation 촉진 약물의 T cell 기능저하 감소 효과 in vitro 스크리닝 및 lipid raft 도메인 정상화 기전 규명
  • 이식 전 처리를 통한 Butyrate 생산능 강화 FMT가 궤양성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서의 관해율에 미치는 영향
  • 큐브위성 기반 화성 착륙선을 위한 초음속 낙하산 형상의 성능 평가
  • CFD 데이터를 활용한 교반 유체의 컴퓨터 비전 기반 점도계(역문제)
  • 다양한 합성 조건과 후처리 공정에 따른 Sulfurized Polyacrylonitrile (SPAN) Li-S 배터리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적 성능 분석
  • 전기차용 저전력 온도 감응 제어 시스템의 RTL 설계
  • 군사 목적의 드론 하드웨어 및 AI 기반 작전 임무 시스템 개발
  • AI 기반 자동화 합성 도핑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의 광효율성 최적화 및 물성 분석
  • 저비용 스테레오 이미징 기술을 활용한 실제 해안에서의 삼차원 파랑장 관측 및 쇄파 현상 분석
  • 디퓨전 기법을 활용한 트랜스포머 기반 음성 인식 디코더
  • 페로브스카이트 내 리튬 이온과 전자 이동의 상호작용 및 전기적 특성 분석
  • SOLO(Surrogate Online Learning at Once) 기반 객체 탐지: 스파이킹 신경망에서 온칩 학습에 최적화된 전력 효율적 프레임워크
  • dCas13 개량을 통한 RNA 결합력 강화 및 억제 효율 향상
  • fMRI 기반 신경 반응과 딥러닝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색각 보정 디스플레이 필터 개발
  • 링크 단위 확률 모델링 접근을 통한 범용 충돌 회피 모션 플래너 네트워크 개발
  • 로켓탑재-사출형 패러포일 기반 무인비행체계 개발
  • 종양세포의 다중스케일 물성 프로파일링을 통한 재발 가능성 예측
  • 핵연료의 공리적 설계
  • 그랩 위치-릴리즈 오차에 강인한 로봇 팔 던지기 궤적 생성
  • 고성능 MTU 변환 스위치 구현
  • 나노 침전물의 기계적 거동에 주는 영향 분석
  • 실시간 피드백을 활용한 VR 전동킥보드 운전 면허 훈련 시스템 연구
합격팀에게는 이메일로 연구 참여에 대한 개별 안내가 나갈 예정입니다. (이번 주 중 발송 예정) 
학부생연구지원프로그램(유형1 독립연구)에 관심 갖고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