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화학생물공학의 이해 M1587.001500 | 화학 (Stoichemistry / Limiting reactant) 수학 (행렬) | 공정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Stoichemistry와 Limiting reactant에 대한 이해가로 Flow rate를 구할 수 있다. 행렬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알아야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
2 | 공학생물 458.203 | 생명과학 | 생명과학에서 배우는 내용을 화생공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배운다. 생명과학 전범위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
3 | 물리화학 1 458.201 | 화학 (Composition/Mixture) 미적분학 (미분계수 ~ 뉴턴의 방법) | 상평형도, 혼합물에 대해 다룬다. 기초적인 이해 없이는 물리화학적 내용을 쌓을 수 없다. 수업 전반에서 편미분을 사용한다. 편미분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얻어가는게 더 많을 것이다. |
4 | 유기화학 1 458.204 | 화학 (Acid Base ~ Redox) | 기초적인 Acid Base와 Redox을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수업을 진행한다. |
5 | 분석화학 458.309A | 물리 (원운동과 힘) 통계 | 해당 내용들을 몰라도 수업을 따라가기에 지장은 없으나, 해당 부분에 대한 이해도가 있으면 분석 기기의 원리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다. |
6 | 화학생물공학기초실험 458.206 | 물리 (실험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보고서 작성의 기본적인 틀을 알고 있어야, 수업 진행이 가능하다. 처음 실험 보고서를 작성해보는 여러분들에게 체계적인 보고서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것이다. |
7 | 응용생화학 1 M1587.000200 | 생명과학 | 공학생물 / 생명과학에서 배우는 다양한 기작들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해본다. 분자의 상호작용을 생명활동과 연계하기 때문에 생명활동들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는 필수적이다. |
8 | 물리화학 2 458.202 | 미적분학 (미분계수 ~ 뉴턴의 방법) | 분자 운동, 반응에 관한 제 문제를 기초적인 이론으로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배운다. 미분이 포함된 식을 가지고 노는 것에 익숙해야 한다. |
9 | 유기화학 2 458.301 | 화학 (Acid Base ~ Redox) | 유기화학 1의 연장선으로 다양한 유기화학 반응을 공부한다. 아쉽게도 유기화학 2에서 요구하는 능력은 기초컨텐츠를 벗어난다. 하지만, 선수과목인 유기화학 1에 대한 이해는 필히 요구된다 |
10 | 응용생화학 2 M1587.000100 | 생명과학 | 공학생물 / 생명과학에서 배우는 다양한 기작들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해본다. 분자의 상호작용을 생명활동과 연계하기 때문에 생명활동들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는 필수적이다. |
11 | 반응공학 1 458.305 | 화학 (Stoichemistry / Limiting reactant) | 이 강의에서는 화학 반응 현상을 이해시켜 최종적으로는 반응기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 반응 전후의 물질수지, 반응물질의 전환율과 반응기에 대해 배운다. |
12 | 공정유체역학 458.305 | 화학 (Stoichemistry / Limiting reactant) 수학 (행렬) 미적분학 | ‘화학생물공학의 이해’에서 다룬 공정시스템을 좀 더 물리적인 스코프에서 다루는 수업이다. 미적분학에 대한 이해 없이는 수강이 어렵다. |
13 | 화공열역학 458.310 | 화학 (Composition / Mixture) | 유체혼합물의 열역학적 특성에 관하여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화공기술자의 전문분야인 상 및 화학평형을 열역학적으로 취급하여 평형상태를 계산하는 방법과 공정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효율성을 검토한다. |
14 | 고분자화학 458.312 | 화학 (Acid Base ~ Redox) | 합성 고분자를 중심으로 부가 및 축합에 관한 화학 및 물리적 고찰, 그 형태와 구조 등에 관하여 배운다. 유기화학에 대한 이해 없이는 수강하기 어렵다. |
15 | 공학기술과 경영 M1587.000400 | | 공학기술-경영간의 상호관계와 합목적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기술경영을 위해 수행되는 제반활동의 내용과 범위 및 절차를 파악하며, 구체적인 분석기법과 방법론을 이해한다. (전공지식이 없어도 됨) |
16 | 분자생물공학 458.410 | 생명과학 | 미생물, 동물, 식물 등 제반 생물의 유전공학 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 전반에 관한 교육을 수행한다. 응용생화학에서 배운 내용 일부를 더 깊게 들여다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7 | 공정제어 및 설계 458.308 | | 다양한 화학 및 생물 공정의 특성에 관한 기초 지식과 기본적인 제어 이론을 강의하고 공정제어 시스템의 이론적인 해석, 안전성, 설계에 관한 문제를 광범위하게 취급한다 |
18 | 열 및 물질전달 458.304 | | 화학공정의 해석 및 설계에 필요한 열전달, 물질전달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전도와 열전도도, 대류 열전달, 비등과 응축, 복사 열전달, 증발, 열교환 장치를 살펴보고, 분자확산, 대류 물질전달에 대한 기본 개념을 확립시킨다. |
19 | 분리공정 458.407 | 화학 (Composition/Mixture) | 여러 가지 분리공정 중에서 특히 상과 상 사이에서 일어나는 분리공정을 다루게 된다. 따라서 이 과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열역학, 열 및 물질전달을 이수한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
20 | 무기 및 재료화학 458.311A | 화학 (Compounds) | Symmetry와 group theory에 의한 무기물의 화학결합을 시작으로 하여 전이금속화합물의 합성, 구조, 반응성 등의 강의로 이어진다. 기본적인 고체화학의 내용을 다룬다. |
21 | 화학생물합성실험 458.306 | 물리 (실험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nitration, sulfonation, diazotization, coupling reaction, Friedel-Craft reaction, oxidation, reduction, halogenation, saponification 등 여러 단위 공정들에 의한 유기화합물들의 합성을 시도한다. |
22 | 화학생물공정실험 458.307 | 물리 (실험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유체역학, 열전달, 물질전달, 반응공학, 중합반응, 공정제어 및 기기분석 계통의 실험을 통하여 실험 기법을 익히는 것은 물론, 강의를 통하여 습득한 전공분야의 지식을 포괄적으로 이해한다. |
23 | 생물화학공학 458.413 | 생명과학 컴퓨팅 | 효소 및 세포반응속도론, bioreactor 설계 및 scale-up, 컴퓨터 자동제어, 세포부양기술 등이 교육내용의 주류를 이룬다. |
24 | 공정 및 제품설계 458.401 | | 다양한 화학 및 생물 공정과 화학 및 생물 제품을 설계하는 기초 이론을 강의한다. |
25 | 양자역학의 기초 400.307 | | 전자의 거동에 관한 양자역학적인 이해를 하는데 있다. Fermi-Dirac통계와 에너지 band의 이해 및 적용을 배우며, 전자의 수송현상에 따라 구분되는 도체, 반도체, 절연체도 강의한다. |
26 | 전기화학 458.409 | 화학 (Acid Base ~ Redox) | 전위, 전극반응의 속도론, 계면의 전기화학 등의 기초지식 습득을 시작으로 voltammetry 및 spectroelectrochemistry에 의한 화학물질의 물성조사, 분석, 또한 반도체의 광전기화학에 관하여 강의한다 |
27 | 촉매개론 458.404 | | 촉매반응의 구분 및 특징, 촉매의 종류와 정의, 촉매작용에 관한 이론 및 공업적 반응, 촉매로 많이 이용되는 금속의 결합구조 및 특성, support의 종류 및 특성 등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이와 아울러 흡착·탈착의 특징, 촉매반응의 속도론, 기초적인 표면화학 분야 등도 다룬다. |
28 | 고분자물성 458.411 | 화학 (Compounds) | 유기재료의 특성 특히 고분자의 고체 및 액체의 구조와 성질, 고분자의 여러 반응 등 재료화학적 논의와 plastics의 특성 중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질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
29 | 환경공학개론 458.405 | | 환경공학의 입문 과목으로 환경오염의 여러가지 형태 즉 수질오염,대기오염, 폐기물오염, 소음 및 진동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를 개괄적으로 소개를 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공학적 접근 방법의 원리를 설명한다. |
30 | 화학생물공학세미나 458.421 | | 산업계에 종사하는 외부인사를 초청하여 강연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연사와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키고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장래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주는 강좌이다. |
31 | 창의연구 458.424A | 논리적사고 | 창의성개발을 목표로 연구과제의 도출, 관련 문헌의 조사 및 분석, 연구수행 그리고 연구결과의 발표 등 제과정을 통하여 창의성을 개발하고 우수한 연구결과를 창출하도록 교육한다. 논리적 사고 방식을 아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
32 | 반도체소재 및 공정 M1587.001400 | | 반도체 소재 및 소자 공정의 기초를 이해하고, 반도체 제조에 있어서 화학공정을 해석하고 최적화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반도체의 일반론과 공정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
33 | 세포생물공학 M0000.006400 | 생명과학 | 세포는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단위이다. 본 과목에서는 세포의 성분, 구조, 기능, 기작 등의 기본지식에 대하여 강의한다. |
34 | 반응공학 2 458.402 | | 반응공학1의 원리를 바탕으로, 변온반응기 설계, 촉매 반응기 설계, 확산과 반응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
35 | 화공전산응용 458.412 | 미적분학의 첫걸음 (미분계수 ~ 뉴턴의 방법) | 화학공학 전공과목의 학습에 필요한 수학지식을 교육하는 동시에 해석적인 사고력의 함양을 강조하며 강의한다. |
36 | 공학지식의 실무응용 400.313 | | 학교 내에서 강의를 통해 습득한 공학기초지식 및 공학응용지식이 현장에서 어떻게 응용이 되는지를 체험하는 과목이다. |